스터디 리더로 현재도 진행중이고추후에는 방식을 바꾸고, 인원추가도 고민을 좀 해보며 이어나갈 스터디.총 스터디원은 나까지 4명으로 시작했고,1명은 현재 취업하여 근무 중이라 작성을 하는 이 시점에는 3명이 진행하고 있다. 스터디는 1월부터 했는데, 회고는 5월에 한다.당시에는 그냥 정신이 너무~ 너무나 없었기 때문에.지금은 스스로 약간 늘어진 게 느껴져서 마음을 다잡고자 쓰는 회고. 혹시나 스터디를 진행하려는 사람이 참고할 때 읽어도 좋고나 또한 조금 쉬어가는 호흡으로 작성하는 거기도 하다. 만약 스터디 진행을 참고하고 싶다면 바로 챕터 2로 가길... CHAPTER 00. SSAFY, 잘 마무리 했나요? 관점에 따라 다르다.수료에 중점을 둔다면 수료증 받고 프젝 세 번 다 상 받고싸피 사람들하..
📑 개요 기존에 있던 기능은 아니지만 React 16.8에서부터 생겼다는 React Hooks...! 나는 처음 리액트를 접할 때부터 있던 기능이기 때문에 훅이 없는 리액트...? 상상도 안된다 Hook 없이 어떻게 개발했을까 신기할 정도로 필수인 기능... 포스팅하면서 Hook없이 개발한 코드를 스을쩍 봤는 Hook이 없으면 Vue랑 비슷한 느낌으로 개발하는 것 같다 쓰면서 익숙해지는 게 제일 좋은 개념인데 이게 또 😎.......~!!!!! 냅다 프젝부터 해보면 적응할 건데 이게...~!!!!!!! 넵 공부하겠슴다 🎣 React Hooks란? React의 클래스 컴포넌트에서만 사용 가능했던 상태(state) 관리 및 생명주기(lifecycle) 관련 기능을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 개요 처음 선택자란 단어를 보면 선택자가...... 뭔데?;; 라는 생각부터 들 것이다. 나도 처음 선택자란 단어가 굉장히 낯설게 다가왔는데 쉽게 생각하면 선택자란 등수매기기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이 등수라는 것은 CSS에서 생각보다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선택자의 우선순위를 알아야 CSS를 작성할 때 어떤 CSS가 우선적으로 들어갈지 더 명확한 설계가 가능해진다. 모든 레이아웃이 똑같은 규격의 CSS를 가진다면 굉장히 편하겠지만 실제로 웹을 제작하다보면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에 웹을 만들 때엔 선택자의 우선순위를 통해 중복된 CSS 값을 가지더라도 어떤 CSS를 더 우선적으로 사용할 것인지 명시한다. 그럼 지금부터 선택자에 대해 알아보자! ❓ 선택자(Selector) 우선순위? CSS 선택자와..